지방간은 간 내 지방침착으로 인한 무게가 간 내 무게의 5%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정의된다. 비알코올성 지방 간질환(non-alcoholic liver disease)은 그 중 지방간의 원인이 알코올에 기인되지 않은 경우를 말하며 간 내 단순 지방침착 (simple steatosis)부터 지방간염, 간경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
세계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유병률은 다양하 게 보고 되고 있는데 서구에서는 특별한 간질환의 원인이 없는 정상 성인의 20–30% 정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역학연구결과는 그리 많지 않은 편으로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우리나라 성인에서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유병률은 약 16–50%로 보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비만인 경우에 더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이는 비만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이 간 내 지방침착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유 중 하나가 된다.
비알콜성 지방간염 환자의 30%는 섬유화가 진행되고 처음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으로 진단된 환자의 3%에서 간경변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방간염 환자는 간경변 및 간암의 발생이 증가하고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미국 시장 조사 결과, 2009년 NASH의 시장 규모는 5억 달러이었고 2009-2017년 사이 16%의 연평균 성장 률을 보이면서 2017년에 16억 5천만 달러의 시장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러나 최근 NAFLD 유병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NAFLD 관련 제약 시장의 성장이 더딘 이유는 NASH 치료제로 승인된 약제가 전혀 없고, NASH 확진에 간생검이 반드시 필요하여 진단율이 낮다는 점, 드문 약물 처방 빈도, 그리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희망하는 환자들이 많지 않다는 점 등으로 설명된다.
최근 NASH 치료제 개발의 선구자였던 Intercept Pharmaceutical 사에서 개발한 OCA (ObetiCholic Acid)가 2023년 5월 FDA로부터 최종 승인 거절의 의견을 받았다.
그 다음 주요 후보인 Madrigal 사의 주요 후보 물질인 Resmetirom은 Liver-directed THR-β agonist로 경구제로 투여하는 약제이다.
현재 진행 중임 3상 임상시험은 4개가 있으며, 모두 Resmetirom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연구들이다.
MAESTRO-NASH, MAESTRO-NAFLD-1, MAESTRO-NAFLD-OLE, and MAESTRO-NASH-OUTCOMES.
출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김정환 Korean J Fam Pract. 2014;4:109-115
https://www.kjfp.or.kr/journal/download_pdf.php?spage=109&volume=4&number=2
김 원, New clinical trials in NAFLD, 대한간학회 2015
https://www.kasl.org/upload/lecture/1446101799pdf_3.PDF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803
Gres Karim and Meena B Bansal et al., TouchRev Endocrino 2023 May; 19(1): 60-70
'Pharmaceutic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H의 명칭 변경 'MASH' (0) | 2024.03.04 |
---|---|
비만 치료제: 새로운 경구 치료제에 대한 요구/필요 Kallyope (1) | 2024.01.14 |
2024년 1분기 주목해야할 FDA 5가지의 결정 #Part 2 (0) | 2024.01.03 |
2024년 1분기 주목해야할 FDA 5가지의 결정 #Part 1 (0) | 2024.01.02 |
chatGPT가 추천하는 미국 바이오 기업_버텍스 (Vertex) 2023.12.24 (0) | 2023.12.24 |